성공회대학교에
정신적 유산을 남긴 분들
- 대천덕 신부
-
대천덕 신부는 1918년 중국 산동성 제남에서 선교사의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미국남부대학(University of the South)신학 석사과정을 마치고, 1946년 미국 성공회(Episcopal Church of USA)에서 사제서품을 받았습니다.
1957년 한국으로 파송되어 성미가엘신학원(현재 성공회대학교) 재건을 위해 정착하였습니다. 1957년 11월 성미가엘신학원 6대 원장으로 취임하여 1964년까지 원장으로 봉직하였습니다.
1965년에는 강원도 태백에 수도원 공동체인 ‘예수원(Jesus Abbey)’을 설립하였습니다. 그는 마을 사람들과의 융화를 위해 한국 전통을 존중하였고, 예수원을 한국을 대표하는 공동체로 키워냈습니다. 2002년 향년 84세로 영면하기까지 예수원을위해 헌신하였습니다. 그가 설립한 예수원은 지금도 한해 1만여 명이 방문하는 공동체로 한국 교회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그는 성령과 말씀을 강조하는 복음주의에 입각하면서도 사회 정의에 깊은 관심을 가지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사실을 삶으로 보여주었습니다. 저서로는 「대천덕 자서전, 개척자의 길」, 「대천덕 신부가 물려준 신앙실천서」, 대천덕 신부가 말하는 토지경제정의」등이 있습니다.
- 신영복 교수
- 신영복 교수는 1941년 경상남도 의령에서 태어났습니다. 1963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1965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 경제학 석사학위를 취득했습니다. 그는 숙명여자대학교와 육군사관학교에서 경제학 강사로 있다가 1968년 통일혁명당 사건으로 구속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게 됩니다. 20년 동안 수감 생활을 하면서 지인들에게 보낸 서신을 한 권의 책으로 묶어 세상에 내놓았는데, 이것이「감옥으로부터의 사색」입니다. 그는 감옥에서 한학자 정향 조병호 선생의 지도를 받아 한문서체로 익힌 필법을 한글에도 응용해 연대체라는 글씨체를 만들었습니다. 1988년에 특별가석방으로 출소한 후, 1989년 성공회대학교 강의를 시작하였으며, 1998년부터 사회과학부 교수를 역임하였습니다. 2006년에 정년퇴임 이후 성공회대학교 석좌교수로 재직하였습니다. 그의 철학은 개인의 존재를 넘어 사람 간의 관계를 통해 ‘더불어 숲’을 이루는 것이었고, 많은 정·재계 인사들이 그의 철학을 따랐습니다. 그는 2016년 1월 자택에서 영면하였고, 성공회대학교에서 치른 장례식에는 그의 죽음을 애도하는 시민 약 8천여 명이 다녀갔습니다. 그는 성공회대학교의 교육이념인 ‘열림·나눔·섬김’을 정립하였으며, 우리 시대 가져야 할 삶의 철학을 남겨주었습니다. 저서로는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나무야 나무야」, 「더불어 숲」, 「처음처럼」등이 있습니다. 2008년 제3회 임창순상, 2015년 제19회 만해문예대상을 수상하였습니다.
- 김성수 주교
- 김성수 주교는 1930년 강화군 온수리에서 태어났으며, 연세대학교와 성미가엘신학원(현재 성공회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습니다. 1964년 성공회 사제 서품을 받은 후 1974년부터 발달장애인 특수학교인 성베드로학교를 설립하고 교장으로 봉사하였습니다. 그 후 1984년 성공회 주교, 1993년 대주교로 서품을 받았습니다. 1987년 대한성공회 서울교구장 시절에는 정동에 있는 서울주교좌성당에서 6·10 국민대회의 서막이 된 ‘4·13 호헌철폐를 위한 미사’를 집전함으로써 6월 민주항쟁에 함께 했습니다. 서울 상계동 철거민촌에서 가난한 사람들을 섬기기 위해 시작된 ‘나눔의 집’, 외국인노동자 쉼터인 경기도 마석 ‘샬롬의 집’등이 모두가 그가 교구장으로 있을 때 시작되었습니다. 김 주교는 은퇴 후에 물려받은 땅을 기부하여 1999년 강화도에 발달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우리마을’을 설립하였습니다. 그는 2004년부터 8년간 성공회대학교 총장으로 재직하면서 “등록금을 낭비할 수 없다”며 판공비를 모두 반납하였습니다. 또한 한 달에 한 번 대학교 식당에서 ‘자취생을 위한 저녁식사’를 제공하기도 했습니다. 그가 행한 나눔과 섬김의 정신은 성공회대학교는 물론이고 우리 사회에 지금도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김 주교는 그 공로를 인정받아 1981년에는 장애인자립복지증진기여 표창창을, 2000년에는 사회발전국민훈장 모란장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2013년에는 만해평화대상을, 2020년에는 호암사회봉사상을 수상하였습니다. 그는 지금 우리마을에서 살고 있습니다.